제주도를 방문한 관광객의 소비 상위 업종은 내국인의 경우 한식당, 면세점, 인터넷몰 순으로 조사됐다. 또 편의점이나 슈퍼마켓 같은 소형 유통점과 여관 등 저가 숙박시설 이용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중국인 관광객의 소비 상위 업종 또는 품목은 면세점(44%), 화장품(9%), 홍삼 등 건강보조식품(6%) 순이었다. 제주도청에서는 카드사 빅데이터를 활용해 분석한 관광객의 소비 패턴을 11일 발표했다. 분석 대상 기간은 2014년 9월부터 2016년 8월까지 2년이다. 카드사 자료는 BC카드 내국인 결제 데이터와 유니온페이카드 중국인 결제 데이터를 집계했다. BC카드 국내 점유율은 약 25%이며, 유니온페이카드의 중국 점유율은 99%에 이른다. 제주도청에서는 카드결제 데이터를 토대로 현금과 계좌이체까지 포함한 총 소비금액도 추산했다. 추산에 따르면 1인당 평균 소비금액은 중국인 개별관광객 132만여 원, 중국인 단체관광객 100만여 원, 내국인 개별관광객 59만여 원, 내국인 단체관광객 25만여 원 순이었다. 또 내국인 관광객의 주요 소비지역은 제주시 연동, 노형동, 용담2동으로 나타났다. 중국인 관광객의 주 소비지역은 제주
제주도청에서는 올해 제주도 재정의 78.7%인 4조196억원을 상반기에 집중 배정한다고 11일 밝혔다. 이를 통해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겠다는 것. 특히 1/4분기에 전체 재정의 62.3%를 집행하는 등 초반에 집중 배정하고, 2/4분기는 16.4%를 배정할 계획이다. 도 기획조정실 관계자는 투자효과가 조기에 나타나는 SOC사업을 비롯해 도민생활에 있어 체감도가 높은 농어촌 생산기반 확충사업, 일자리 창출 및 전통시장 활성화사업 등의 예산을 조기에 집행하겠다고 밝혔다.
원희룡 제주지사는 11일, 상반기 정기인사를 실시했다. 발령일자는 13일이다. 인사규모는 승진 100명, 전보 505명이다. 승진인원을 직급별로 보면 2급 2명, 3급 6명, 4급 19명, 5급 25명이다. 직위 승진은 3급 2명, 4급 12명, 5급 1명이다. 전보는 직급별로는 4급 이상 60명, 5급 135명, 6급 이하 310명이다. 주요 인사 내역을 보면, 문원일 경제통상산업국장은 지방이사관으로 승진하며 안전관리실장으로 발령났다. 그리고 양시연 서기관은 부이사관으로 승진하며 보건복지여성국장으로, 고상호 서기관은 부이사관으로 승진하며 경제통상산업국장으로, 문경진 청렴감찰관은 제주시 부시장(직무대리)으로 각각 발령났다. <5급 이상 인사 내역> 성 명 임 용 사 항 현 직 비고 직 급 부 서 직 급 부 서 문원일 지방 이사관 안전관리실장 지방 부이사관 경제통상산업국장 승진 정태근 지방 이사관 도의회사무처장 지방 부이사관 도의회사무처장 승진 고운봉 지방 부이사관 도시건설국장 지방 기술서기관 도시건설국장 승진 양시연 지방 부이사관 보건복지여성국장 지방 서기관 의회사무처 승진 고상호 지방 부이사관 경제통상산업국장 지방 서기관 특
제주도청 도시건설국은 올해 역점 추진 정책과제를 ▲ 제주형 주거복지 실현 ▲ 주거안정과 실수요자를 위주로 한 건전한 부동산거래 정착 ▲ 주민이 주체가 되는 도시재생사업 추진 ▲ 난개발 및 경관훼손 방지 ▲ 간선도로 기능 강화 및 도로 건설·관리계획 확정 ▲ 제주 4대권역 균형발전전략 수립 등 여섯 가지로 잡았다고 11일 밝혔다. 이 과제 추진을 위한 예산은 총 1,166억원으로 계획하고 있다. 부문별로는 행복주택 건립 74억원, 임대보증금 지원 38억5천만원, 공공디자인 및 지적재조사 232억원, 도로건설 11개 사업에 301억원, 균형발전전략 수립 및 절대·상대보전지역 재정비 등 도시건설 분야 486억원, 도시재생 80억원, 도로환경개선 368억원 등이다. 역점 추진 정책과제를 세부적으로 보면, 제주형 주거복지 실현 부문에서는 우선 무주택자 등을 위한 공공주택 2만 세대를 2025년까지 공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제주시 도남동 시민복지타운 내 행복주택 700세대 건립 계획은 주민의견 수렴과 교통대책 마련 등을 전제로 했지만, 추진하겠다는 방침에는 변화가 없다는 점을 밝혔다. 그다음 부동산투기 방지 및 건전한 거래 정착을 위한 방안으로는 제주도
제주도정은 올해부터 위기가정 등 긴급복지 지원 대상자의 소득기준이 상향되면서 지원 대상이 확대되고, 지원금 역시 늘어난다고 10일 밝혔다. 또 의료급여 요양비 및 임신·출산 진료비 지원액을 인상하고, 노인복지 및 장애인복지 증진을 위해 올해 473억원을 투자하며, 건강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 보건위생분야에 317억여 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제주도정은 이밖에도 어린이집 영유아 보육의 공공성을 더욱 강화하고, 육아돌봄 공동체 지원을 위한 수눌음 육아나눔터 조성사업도 확대할 계획이다. 긴급복지 지원 대상 및 지원금 확대 긴급복지제도는 주 소득자의 사망, 중한 질병 또는 부상 등으로 인해 위기에 처한 가정을 지원하기 위해 시행하고 있다. 긴급복지 지원 대상자는 중위소득 3백29만3천원에서 3백35만원(4인 기준)으로 소폭 확대됐다. 그리고 지원금은 지난해 대비 2.3% 올렸다. 지원 대상은 보건복지부에서 정한 위기사유에 해당되면서, 월소득은 기준 중위소득 75% 이하(4인 기준, 3백35만원), 재산은 8천5백만원 이하, 금융재산은 5백만원 이하여야 한다. 지원 금액은 생계비 1백15만7천원(4인 기준), 의료비 3백만원 한도(자부담분), 주거비 41만8
제주도개발공사에서는 탐라영재관에 입주할 학생을 모집하고 있다고 10일 밝혔다. 이 시설은 제주 출신중 수도권 대학에 진학한 학생들에게 숙소를 제공하기 위해 운영되고 있다. 접수기간은 이달 9일부터 31일까지며, 이 공사 홈페이지를 통해 접수하고 있고, 입주자 선정 발표일은 2월 10일이다. 이번에 모집하는 학생 수는 남학생 134명과 여학생 134명 등 총 268명이다. 입주자격은 수도권 소재 대학 신입생이나 재학생중 본인 또는 보호자의 주민등록상 거주지가 제주도이거나, 원적이 제주도여야 한다. 단, 보호자의 주소지가 수도권인 경우는 제외된다. 선발기준은 학업성적과 생활수준이며, 가점 부여 대상은 국가유공자 자녀, 기초생활수급자 자녀, 장애인, 다자녀 가구의 자녀 등이다. 1인당 기숙사비는 식비를 포함해 2인실은 월 15만원, 3인실은 월 12만원이며, 입사비는 연 5만원이다. 지난해에는 296명 모집에 411명이 지원하면서 1.39대 1의 입주 경쟁률을 보였다. 한편, 제주도개발공사는 올해부터 서울 동대문구 전농동과 동작구 사당동 지역에서 ‘소규모 지방학사 시범사업’도 실시할 예정이다. 자세한 사항은 이 공사 홈페이지(www.jpdc.co.
전국 농협과 축협이 설연휴기간인 오는 27~30일 4일간 자동화기기를 이용한 입출금거래 등 일체의 금융거래를 중단할 예정이다. 농협 관계자는 농협법과 은행법에서 규정한 법적·제도적 요건을 갖추기 위해 현재 지역 농·축협과 NH농협은행이 통합 운영하고 있는 전산시스템을 분리하는 설비를 갖춰야 하기 때문에 중단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중단기간은 27일 0시부터 30일 자정까지다. 중단되는 업무는 자동화기기·인터넷뱅킹·텔레뱅킹을 이용한 입출금·계좌이체·조회업무 등 농협계좌를 이용하는 금융거래 전체이다. 또 현금카드 및 신용카드의 현금서비스 이용도 불가능하다. 단, 신용카드는 이용 가능하며, 통장 또는 현금카드 분실신고 등 사고신고는 농협 고객행복센터(전화. 1588-2100, 1544-2100)에서 정상적으로 받는다.
제주동부경찰서는 아버지를 때려 숨지게 한 혐의로 A씨(42)를 입건했다고 10일 밝혔다. 경찰에 따르면 A씨는 지난 7일 오후 11시 30분쯤 술을 마신 상태에서 제주시내에 있는 아버지 B씨(79)의 집에 찾아가 말다툼을 벌이다 폭행해 숨지게 한 혐의를 받고 있다. A씨는 아버지를 폭행한 뒤 집을 나갔다가 9일 오전 다시 방문, 아버지가 숨진 사실을 알고 경찰에 신고했다. 동부경찰서는 A씨를 존속살해 혐의로 입건해 조사하고 있다.
제주도교육청에서 장애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2017년 장애 학생 겨울 계절학교’를 운영하고 있다. 제주시 탐라장애인종합복지관에서는 오는 13일까지 계절학교를 운영하며, 서귀포시장애인종합복지관에서는 오는 16일부터 26일까지 열 예정이다. 교육 프로그램은 진로탐색, 사회적응체험 견학 및 활동, 지역사회 문화체험, 방송댄스반, 쿠키반, 웃음치료, 레크레이션, 음악활동, 생활공예, 요리, 여가문화활동 등이다.
= 김순희(제주시청 종합민원실) = 작년 한해를 뜨겁게 달궜던 부동산가격 열풍으로 제주도에는 10억 거지, 20억 거지가 많다는 우스갯소리가 흘러나온다. 이 말은 토지를 조상 대대로 물려받아 투자목적이 아닌 소유하는 사람들을 일컫는 말이라 짐작되지만, 이런 말을 들을 때면 공무원으로서의 무게감이 느껴진다. 요즘 국토교통부에서는 표준지 소유자에게 표준지 예정가격에 대한 의견 청취문을 발송했다. 시민들에게 표준지 예정가격이라는 단어는 다소 생소할 수 있겠지만, 토지 특성 및 가격을 꼼꼼히 확인해 보아야 한다. 표준지 예정가격 선정은 국토교통부장관이 지역별로 가장 대표성 있는 토지 50만 필지를 선정하여 국토교통부에서 지정한 지역별 담당 감정평가사로 하여금 직접 현장조사를 실시하고, 토지의 특성, 사회․경제․행정적 요인과 용도지역별 가격동향 등 가격 형성요인을 철저하게 조사·분석하여 가격을 산정하는 것으로, 제주시는 올해 표준지 5,750필지가 선정됐다. 이렇게 선정된 표준지 예정가격은 토지소유자 및 시군구의 의견을 청취하고, 중앙부동산가격공시위원회 심의를 거쳐 다음달 2월 23일 국토교통부 장관이 결정 고시하게 되는데, 이것이 표준지 공시지가이다. 표준지 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