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한국관광 금지 조치와 관련, 제주도정은 피해 지원 대책으로 관광진흥기금 원금을 1년간 상환 유예하고, 경영안정자금 지원 대상을 확대하겠다고 21일 밝혔다.
이승찬 제주도청 관광국장 등은 이날 오전 제주도청 기자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러한 피해 지원 및 위기극복 대책을 발표했다.
제주관광진흥기금 원금 상환은 현재 상환중이거나 거치기간 1년 미만인 융자금을 대상으로 1년간 유예하기로 했다. 대상은 952건에 3,959억원이라고 밝혔다. 유예를 희망하는 업체는 오는 4월 3일부터 5월 22일 사이에 융자취급 은행에 신청하면 적격심사를 거쳐 5월 31일 유예 여부가 결정된다.
경영안정자금은 총 300억원을 특별 융자키로 했다. 융자한도는 매출액의 50% 이내에서 업체당 최고 5억원, 융자기간은 1년 거치 3년 상환, 금리는 올해 1/4분기 기준으로 0.87%이다.
지원 대상도 전세버스업계와 사후면세점까지 확대했다. 전세버스업체에 대해서는 노후 버스 교체에 한해 지원했으나 이번에는 일반 운영자금도 지원하며, 사후면세점을 신규 지원 대상에 포함시켰다.
제주관광 위기 극복 대책으로는 내국인 관광시장 극대화와 개별 관광객 확대, 그리고 시장다변화에 중점을 두고 10대 핵심 중점 대책과 3대 분야 25개 단기 주요 대책 및 10대 중장기 대책을 마련해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10대 핵심 중점 대책으로는 ▲ 4월 한 달간 국내·외 관광객 유치 붐 조성을 위한 대대적인 그랜드세일 실시 ▲ 항공노선 확충 등 시장다변화를 위해 일본·동남아·신흥시장 등을 대상으로 한 직항 정기 항공노선 개설 및 직항 전세기 확충, 크루즈 유치 강화 ▲ 수용태세 개선과 마케팅 강화로 개별 관광객 유치 확대 등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중 그랜드세일 행사 방안으로는 공영관광지를 무료 개방하고, 면세점·대형마트·바오젠거리·중앙로지하상가·특산품점 등을 대상으로 할인행사를 열도록 유도할 계획이다.
10대 중장기 대책으로는 ▲ 관광객 수용태세 전환을 위한 대대적 시민의식 개혁 전개 ▲ 일본시장 회복 지속 추진 ▲ 아시아·신흥시장 공략 강화 ▲ 제주만의 특성 있는 관광 콘텐츠 지속 개발 ▲ 관광수요를 능동적으로 창출하기 위해 관광시설 확충 ▲ 일본 및 아시아·신흥시장 제주 SNS 서포터즈 양성 ▲ 무슬림 관광객 유치 인프라 확충 ▲ 해외관광객 대상 온라인 거래 플랫폼 구축 ▲ 동남아 국가 관광통역안내사 체계적 양성 ▲ 제주 MICE 다목적 복합시설의 차질 없는 건설 등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