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교통복지신문 최효열 기자] 일반적으로 향후 금리 상승이 예상되면 이자 부담 우려에 따라 변동금리보다 고정금리로 가계대출을 받는 경우가 늘어나지만, 기준금리 인상이 임박한 최근 오히려 변동금리 비중이 더 커지고 있다.
지난 3일 공개된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의 7월 의사록를 보면 금통위원 7명 중 5명이 가까운 시일 내에 기준금리를 인상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별도 의견을 내지 않은 이주열 총재를 빼면 6명 중 5명이 매파 입장에 선 셈이다. 당장 이달에 금리를 올려도 이상하지 않을 분위기다.
지난 6월 기준 가계대출 중 변동금리 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신규취급액 기준으로 7년 6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한국은행이 조만간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할 것으로 예상되어 천문학적 규모로 늘어난 가계부채 뇌관이 터질 수 있다는 경고음이 제기된다.
지난 2일 한국은행 통계에 따르면 6월 예금은행의 신규 가계대출 가운데 변동금리 대출은 81.5%로 2014년 1월(85.5%) 이후 7년 5개월 만에 최대를 기록했다. 지난해와 2019년 신규 가계대출 기준 변동금리 평균 비중(63.8%, 53.0%)과 비교해 불과 1∼2년 사이 20∼30% 포인트(p)나 뛴 셈이다.
신규 대출이 아닌 가계대출 전체 잔액 기준으로도 6월 고정금리 대출 비율(27.3%)은 2014년 9월(27.2%) 이후 6년 9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현재 남아있는 가계대출 가운데 72.7%가 변동금리 대출이라는 뜻이다.
변동금리 비중이 높은 점은 금리 상승기를 고려할 때 우려되는 대목이다. 당장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이 임박했고 정부까지 나서 연일 금리 상승에 따른 가계대출 이자 부담 급증 가능성을 경고하고 있지만, 대출자의 금리 선택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이다.
이는 현재의 고정금리와 변동금리의 격차가 대출자가 예상할 수 있는 향후 수년의 잠재적 변동금리 상승분보다 큰 것이 원인으로 분석된다.
실제 KB국민·신한·하나·우리 4대 시중은행의 지난달 16일 기준 코픽스(COFIX) 연동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는 연 2.49∼4.03% 수준이다. 하지만 코픽스가 아닌 은행채 5년물 금리를 따르는 혼합형(고정금리) 주택담보대출의 금리는 2.89∼4.48%로 변동금리보다 상단과 하단이 0.4%포인트 이상 높다.
문제는 금융당국의 전방위적 압박에도 불구하고 가계빚이 잡힐 기미가 없다는 점이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시중은행에 따르면 지난달 말 전체 가계대출 잔액은 695조3082억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월 689조1073억원 대비 6조2009억원 증가한 규모다. 가계대출잔액은 5월 소폭 감소한 이후 두 달 연속 증가하고 있다.
가계대출 증가세를 견인한 것은 아파트, 빌라 등 주택담보대출이었다. 지난달 말 주담대 잔액은 489조5837억원으로 전월(485조7600억원)보다 3조8237억원 늘어났다. 이는 올 들어 가장 크게 증가한 규모로 2월(3조7579억원) 증가치를 뛰어넘는 것이다. 신용대출 잔액도 140조8930억원으로 전월 139조294억원보다 1조8636억원 증가했다.
가계대출이 증가함에 따라 올해 가계부채 증가율 목표치를 5~6%로 잡은 금융당국의 정책 운용에도 상당한 부담감이 더해질 것으로 보인다. 올 상반기 가계부채 증가율이 8~9%인 만큼 연간 목표치 달성을 위해선 하반기 3~4%대로 관리가 돼야 하기 때문이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금리상한 특약 상품의 인기가 없는 것은 고정금리가 외면받는 것과 마찬가지 이유"라며 "초저금리 환경이 1년 반 이상 이어지면서 금리 상승에 대한 대출자의 민감도가 확실히 떨어진 데다, 변이 바이러스 등으로 경기가 생각만큼 빨리 회복되기 어렵다는 관측까지 더해져 '향후 금리가 올라봐야 얼마나 오르겠냐'는 인식이 강한 것 같다"고 분석했다.
부동산 관계자는 "신규 대출 시에는 여러 금융기관의 금리 수준을 비교하고 결정하되, 되도록 1금융권의 대출상품을 비교해주는 사이트에서 조건을 검색해보는 것이 좋다"고 전했다.
제주교통복지신문, TW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