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예술 전문가들로부터 숱한 비판이 쏟아지는 세계섬문화축제 추진 계획을 놓고 제주도정이 개최 필요성 등을 놓고 도민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이달부터 다음 달까지 여론조사를 실시하겠다고 17일 밝혔다.
제주도정은 얼마 전에도 개최 찬반 여부를 놓고 여론조사를 실시했는데, 설문문항을 개최를 목표로 두고 왜곡되게 만들었다는 문제 제기가 이어진 바 있다.
제주도청 관계자는 이번에 다시 여론조사를 실시하는 이유는 제주도의회와 언론 등에서 충분한 도민 공감대가 형성돼야 한다고 문제를 제기함에 따라, 기존에 문화예술단체 및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한 데 이어, 2단계로 충분히 도민의견을 수렴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전문가들의 의견은 이미 차가울 대로 차가운 실정이다. 제주도의회 문화관광위원회는 지난달 13일 각계 전문가들을 초청해 ’세계섬문화축제 정책의견 수렴 간담회’를 열었다.
이에 앞서 제주도정은 도민 80% 이상이 섬문화축제를 찬성한다는 여론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하지만 도의회 간담회에서 전문가들은 예전에 열린 섬문화축제는 수십억원을 들였지만 국제행사를 치르면서 나올 수 있는 불미스런 사건들은 모두 일어난 축제라고 냉혹하게 평가했다.
17일 제주도청 관계자는 여론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라며 축제 개최 필요성에 대해서는 “과거 1998년과 2001년에 개최했던 민속공연 위주의 축제에서 벗어나 섬들이 가진 독특한 문화에 초점을 맞추고, 섬 간의 공통점을 중심으로 새로운 개념의 제주를 대표할 수 있는 축제를 육성하기 위해 추진하는 민선6기 후반기 문화예술정책”이라고 옹호했다.
하지만 지난 3월 도의회 간담회에서 주제발표를 맡은 양은희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연구교수는 축제 개최 방식과 관련, “세계를 한 자리에 모이게 할 수 있는가? 모으는 것 자체가 무슨 의미가 있냐”며 “세계 섬문화를 브랜드화 하면서 헤게모니를 가지려고 하는 것이 성공할 수 있는가? 공감대가 없다면 몇 년 하다가 없어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양 교수 외에도 발표자 및 토론자 대부분은 제주도정의 축제 계획에 대해 사실상 비판 일색이었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제주도정이 섬문화축제를 강행하려는 쪽으로 몰고 갈 경우 논란은 더욱 가열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