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연안 바다에서 잡히는 패류에서 마비성패류독소가 검출돼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29일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에 따르면, 지난 28일 부산 다대포 및 감천항의 자연산 진주담치에서 기준치 80㎍/100g을 초과하는 마비성패류독소가 검출됐다.
국립수산과학원 관계자는 패류양식장이 밀집한 진해만 등 남해안 주요 패류양식장에서는 아직 이 독소가 검출되지 않았지만, 앞으로 수온이 상승하게 되면 발생 해역이 점차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마비성패류독소는 유독성 플랑크톤이 생성하는 독소로, 진주담치 등 패류가 수온이 상승하는 봄철에 먹이로 플랑크톤을 섭취하게 되면 그 독이 패류의 체내에 축적된다.
이 독소에 중독되면 구토 증상이 나타나고, 입술·혀·팔다리 등의 근육마비와 호흡곤란 등의 증세가 나타난다.
우리나라 연안에서 이 독소는 보통 1월부터 3월 사이에 출현하고, 4월 중순부터 5월 중순에 최고치에 도달한 후, 수온이 18℃ 이상 상승하는 5월 이후 소멸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국립수산과학원 이태식 식품위생가공과장은 “마비성패류독소는 냉동·냉장하거나 가열 조리하여도 파괴되지 않으므로, 패류독소가 검출되는 시기에는 패류 발생 해역에서 패류를 채취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 독소 발생현황은 국립수산과학원 홈페이지(www.nifs.go.kr)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패류독소정보)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