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제2공항이 공군기지로 병행 이용되는 것 아니냐는 논란이 일며 이에 대한 반대 여론이 거센 가운데, 제주도정은 “제2공항은 순수 민간공항이어야 하며, 어떠한 군 공항시설로 이용되거나 포함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반대하며, 이와 관련하여 국방부와 어떠한 검토나 협의도 배제할 것임을 천명한다”고 7일 밝혔다.
김방훈 제주도 정무부지사는 이날 제주도청 기자실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국토교통부도 제2공항을 순수 민간공항으로 개발하는 것은 확고하다고 밝혔다”고 덧붙였다.
제주도정은 이날 국토교통부와 주고받은 문서를 공개했는데, 제주도정은 지난 2월 국토부에 공식적인 입장을 밝혀달라고 요청했다.
이에 대해 국토부는 지난 6일 “제주 제2공항은 순수 민간공항으로 계획하고 있으며, 군 공항시설(남부탐색구조부대) 설치 계획 등과 관련된 사항은 우리부에서 전혀 검토되거나 논의된 바 없으며”라고 답했고, 아울러 “2025년 개항을 목표로 제주 제2공항 건설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할 계획임을 알려드린다”고 밝혔다.
김 부지사는 “국방부가 어떠한 입장을 갖고 있는지에 관계없이 일체의 협의와 검토도 배제할 것임을 다시한번 천명하며, 제주 제2공항과 관련하여 국방부는 논의할 사업주체나 당사자가 아님을 밝혀둔다”고 제주도정의 입장을 말했다.
하지만 제주 제2공항의 건설 주체는 국토부이고, 소유권은 제주도가 아닌 정부에 있기 때문에 차후 국방부가 이 공항을 공군기지로 병행 활용할 계획을 세우고 추진하더라도 제주도정의 대응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어 논란은 쉬이 가라앉지 않을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