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내 하천의 상당수가 수질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제주시내 산지천과 제주시 한림읍 옹포천, 그리고 제주시 외도동 외도천의 수질에 문제가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제주도 보건환경연구원에서는 올 한 해 도내 유수 하천 12개소의 수질 변화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6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를 보면, 예래천과 창고천은 좋음, 강정천·대왕수천·동홍천·악근천·연외천·외도천·중문천·효돈천 등 8개 하천은 약간 좋음, 그리고 산지천과 옹포천은 보통으로 나왔다.
환경정책기본법에서는 하천 생활환경기준을 ‘Ⅰa등급 - 매우 좋음, Ⅰb등급 - 좋음, Ⅱ등급 - 약간 좋음, Ⅲ등급 - 보통’의 4단계로 나누고 있다.
조사 항목은 환경정책기본법에서 정한 생활환경기준 9개 항목이었다. 이 9개 항목 중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BOD), 화학적산소요구량(COD), 총유기탄소(TOC), 부유물질(SS), 용존산소(DO), 수소이온농도(pH), 분원성대장균군 등 7개 항목은 2015년과 비슷하게 평균 Ⅰ등급 수질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총인(T-P)은 평균 0.07mg/L, 총대장균군은 평균 640개/100mL나 검출되면서 ‘Ⅱ등급-약간 좋음’으로 나타났다.
특히 산지천은 총인(T-P) 농도와 총대장균군 및 분원성 대장균군 면에서 수질이 매우 안 좋은 것으로 나타났고, 옹포천은 총인 농도 면에서 수질이 불량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여름철 담수욕장으로 많이 이용되는 외도천의 총대장균군 농도는 산지천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나면서 주의가 필요한 상태다.
보건환경연구원 관계자는 총대장균군 농도가 높은 주요 요인으로 하천 주변 농경지에서 사용하는 비료와 주변 하수 등을 꼽았다.
<2016년 하천 수질조사 결과>
하천명 | 수소 이온 농도 (pH) |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 (BOD) |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 총유기 탄소량 (TOC) | 부유 물질 (SS) | 용존 산소 (DO) | 총인 (T-P) | 총대장 균군 | 분 원 성 대장균군 | 생활환경기준 (등급) |
mg/L | mg/L | mg/L | mg/L | mg/L | mg/L | 군수/100mL | 군수/100mL | |||
강정천 | 7.5 | 0.2 | 0.2 | 0.5 | 0.2 | 10.2 | 0.05 | 210 | 20 | 약간좋음(Ⅱ) |
대왕수천 | 8.2 | 0.4 | 1.5 | 0.8 | 3.0 | 10.8 | 0.06 | 280 | 31 | 약간좋음(Ⅱ) |
동홍천 | 7.4 | 0.3 | 0.3 | 0.5 | 0.5 | 10.2 | 0.08 | 370 | 39 | 약간좋음(Ⅱ) |
산지천 | 7.4 | 0.8 | 1.0 | 0.8 | 0.8 | 8.5 | 0.14 | 4300 | 150 | 보통(Ⅲ) |
악근천 | 8.0 | 0.3 | 0.6 | 0.6 | 0.5 | 10.5 | 0.06 | 230 | 14 | 약간좋음(Ⅱ) |
연외천 | 7.7 | 0.3 | 0.4 | 0.5 | 0.5 | 10.0 | 0.08 | 450 | 15 | 약간좋음(Ⅱ) |
예래천 | 8.2 | 0.4 | 1.5 | 1.0 | 1.8 | 11.2 | 0.04 | 99 | 13 | 좋음(Ⅰ) |
옹포천 | 7.8 | 0.3 | 0.9 | 0.9 | 0.7 | 10.1 | 0.09 | 400 | 28 | 보통(Ⅲ) |
외도천 | 7.8 | 0.4 | 0.7 | 0.6 | 0.4 | 10.7 | 0.07 | 690 | 15 | 약간좋음(Ⅱ) |
중문천 | 8.2 | 0.3 | 0.6 | 0.7 | 0.6 | 11.3 | 0.05 | 220 | 15 | 약간좋음(Ⅱ) |
창고천 | 8.1 | 0.5 | 2.3 | 1.6 | 3.2 | 10.5 | 0.03 | 330 | 48 | 좋음(Ⅰ) |
효돈천 | 7.6 | 0.3 | 0.7 | 0.6 | 0.2 | 10.2 | 0.06 | 76 | 6 | 약간좋음(Ⅱ) |
평균 | 7.8 | 0.4 | 0.9 | 0.8 | 1.0 | 10.4 | 0.07 | 640 | 33 | |
<하천 생활환경기준(환경정책기본법 시행령 제2조)>
등 급 | pH | BOD | COD | TOC | SS | DO | T-P | 총대장균군 | 분 원 성 대장균군 | |
매우 좋음 | Ⅰa등급 | 6.5~8.5 | 1이하 | 2이하 | 2이하 | 25이하 | 7.5이상 | 0.02이하 | 50이하 | 10이하 |
좋음 | Ⅰb등급 | 6.5~8.5 | 2이하 | 4이하 | 3이하 | 25이하 | 5.0이상 | 0.04이하 | 500이하 | 100이하 |
약간 좋음 | Ⅱ등급 | 6.5~8.5 | 3이하 | 5이하 | 4이하 | 25이하 | 5.0이상 | 0.1이하 | 1000이하 | 200이하 |
보통 | Ⅲ등급 | 6.5~8.5 | 5이하 | 7이하 | 5이하 | 25이하 | 5.0이상 | 0.2이하 | 5000이하 | 1000이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