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청이 30일, 지난 28일 공개된 국정 역사교과서 현장 검토본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한다”고 입장을 밝혔다.
“내용만으로 보면 제주 4·3의 진실과 그 과정에서 수많은 도민들이 어떻게 무고하게 희생되었는지 알 수 없다”는 것이다.
제주도청은 “4·3사건의 원인이 한쪽으로 치우쳐 보이게 하는 점, 4·3희생자가 대부분 국가권력의 남용에서 발생했다는 사실이 설명되지 않은 점, 화해와 상생의 정신에 기초한 제주도민의 4·3해결을 위한 노력이 빠져 있다는 점 등”을 언급하며 결국 “미흡한 서술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한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그리고 “제주 4·3사건에 대한 기술은 최소한 2000년 제정된 ‘제주4·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의 정신과 정부에서 공식 채택한 ‘제주4·3사건진상조사보고서’를 충분히 반영하여 이루어져야 한다”고 요구했다.
제주도청은 또한 “제주도는 4·3사건법에 따라 4·3 희생자와 유가족, 그리고 제주도민의 명예회복 업무에 대한 책임이 있다”며 “제주도는 앞으로도 4·3사건으로 제주도민들이 상처 받는 일이 없도록 4·3유족을 비롯한 도민과 함께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