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9.28 (목)

  • 구름조금서울 20.2℃
  • 흐림제주 24.3℃
  • 흐림고산 23.5℃
  • 흐림성산 23.4℃
  • 흐림서귀포 24.0℃
기상청 제공

정보


눈 뜨고 잔다면 토끼눈증 의심해야 

 

[제주교통복지신문 김현석 기자] 잠을 잘 때는 양쪽 눈을 모두 감고 자는 게 보통이다. 하지만 반쯤 떠진 채 잠에 드는 경우도 있다. 수면 시 눈이 완전히 감기지 않는 상태를 ‘토안증세’ 또는 ‘토끼눈증’이라고 한다.

 

토끼눈증은 쌍꺼풀 수술을 여러 차례 받았던 사람에게서 주로 발견된다. 눈꺼풀에 라인을 잡아주어 눈의 크기와 인상을 달리하는 쌍꺼풀 수술을 여러 차례 받게 되면 눈 주변부의 근육이 약해지는 것이 이유다. 처진 눈꺼풀이 제자리를 찾게 하는 안검하수 수술도 같은 양상을 띤다.

 

눈을 뜨고 자는 데는 선천적인 요인도 있다. 눈이 너무 크거나 안구가 앞으로 돌출된 경우다. 이런 사람들은 눈꺼풀의 근육이 눈 전체를 다 덮지 못하는 상황이 종종 발생하곤 한다. 특히 피곤할 때 토끼눈증 증상을 보인다. 이 외에도 안구가 앞뒤로 길어지는 초고도근시 환자는 수면 시 눈꺼풀의 힘이 풀려 이와 같은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만약 해당 상태가 반복 지속해서 이어지거나 흰자위뿐만 아니라 검은자위까지 보일 정도라면 안과 상담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원인이 되는 안구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자는 동안 눈이 계속 떠져 있으면 안구에 공기가 직접적으로 닿는 시간이 늘어난다. 그로 인해서 안구건조증에 노출되기 쉽다. 이는 눈물의 양이 줄어들며 건조함, 이물감, 통증 등에 시달리게 되는 질환이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취침 시 수면 안대를 착용하고 일상생활 중간 인공 눈물을 점안해 주는 것을 생활화해야 한다.

 

눈이 너무 커서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토안증세에 대해서는 걱정할 필요가 없지만, 잠을 자는 동안 토안증세가 심하게 나타나거나 계속해서 지속한다면 안구가 공기 중에 노출되면 각막이 손상되거나 결막염, 안구건조증과 같은 질환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안과를 방문해 검진과 상담을 받아볼 필요가 있다.

 

도움말 : 신논현역 힐링안과 김선영 대표원장

 

 

제주교통복지신문, TW News


추천 비추천
추천
0명
0%
비추천
0명
0%

총 0명 참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