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9.23 (토)

  • 구름조금서울 22.5℃
  • 흐림제주 24.2℃
  • 흐림고산 23.2℃
  • 흐림성산 24.2℃
  • 구름조금서귀포 23.4℃
기상청 제공

정보


발견 어려운 인접면 충치, 주기적인 치과 검진으로 상태 살펴야

 

[제주교통복지신문 김지홍 기자] 입을 크게 벌리고 거울로 들여다보면 아래쪽 어금니의 씹는 면이 쉽게 눈에 들어온다. 이렇게 치아의 씹는 면을 교합면(咬合面) 이라고 한다. 거울로 들여다본 아래쪽 어금니의 교합면에 검은 점이 보이는가? 그렇다면 충치가 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치아의 교합면은 볼록한 부위와 그 사이를 지나가는 홈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대부분의 충치는 이러한 홈에서 발생한다. 교합면의 홈에는 식사 후 음식물 찌꺼기가 남아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충치가 가장 많이 발생한다. 따라서 충치 치료 중 교합면 충치 치료가 가장 많은 빈도수를 차지하게 된다. 다행스러운 것은 이는 쉽게 관찰할 수 있고 접근이 용이하기 때문에 예방과 치료가 비교적 쉽다.

 

그러나 충치의 발생 위치는 치아의 교합면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치아와 치아 사이 인접면(鄰接面)에 발생하기도 한다. 인접면은 음식물을 직접적으로 저작하는 부위는 아니지만 좁은 틈새로 음식물 찌꺼기가 끼기 쉽고 세균이 서식하기도 쉽다. 양치질을 하더라도 인접면까지 칫솔모가 잘 닿지 않기 때문에 양치가 덜 되거나 관리가 어려운 점도 이유가 된다.

 

인접면 충치는 초기 발견이 어렵다. 치아끼리 맞닿아 있는 부분이라 노출이 잘되지 않기 때문에 초기의 인접면 충치는 육안으로 식별이 어렵다. 엑스레이를 찍어도 초기에는 이를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만약 인접면에 있는 충치가 눈으로 확인될 정도라면 질환이 이미 많이 진행한 상태이므로 빠른 치료가 필요하다. 

 

치아의 구조상 단단한 외층(법랑질)은 교합면에서 가장 두껍고 잇몸쪽으로 갈수록 얇아진다. 따라서 인접면은 치아의 신경(치수)과 가까워서 충치가 조금만 진행되어도 신경치료(근관치료)가 필요한 경우가 많다. 일반 충치 치료와 비교하여 신경치료를 하게 되면 치아의 수명이 줄어드는 결과를 초래하기 때문에 가급적이면 신경치료를 하기 전에 충치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치료하는 데 가장 많이 쓰이는 방법은 복합레진(composite resin)과 인레이(inlay) 치료이다. 앞니 부위의 인접면 충치는 비교적 기구 접근이 용이하기 때문에 강화플라스틱의 일종인 복합레진을 이용하여 직접 수복을 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어금니의 인접면은 기구 접근이 쉽지 않아 직접 수복을 통해 치아 사이의 적당한 접촉을 만들거나 생리학적 형태를 재현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치아의 충치를 제거하고 형태를 다듬은 후 본을 떠서 외부에서 금이나 세라믹을 이용하여 수복물을 제작한다. 이러한 간접 수복물 중 치아의 일부만 포함하는 형태를 인레이라고 한다. 인접면 충치가 심하여 레진이나 인레이 수복으로 치아의 외형을 재현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치아 전체를 다듬어 씌우는 크라운 치료가 필요하다.

 

이처럼 힘든 과정을 거쳐서 인접면 충치 치료를 마치게 되면 그것으로 끝났다고 생각하면 오산이다. 인접면 충치 치료를 마친 이후 치실을 이용한 관리가 필요하다. 법랑질 표면에만 국한된 초기의 인접면 충치의 경우 치실을 사용하는 것만으로 충치의 진행을 멈출 수가 있다. 이런 경우 약간의 변색은 남아 있겠지만 치아는 더 이상 약해지지 않고 그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 

 

인접면 충치는 일반적으로 양치를 꼼꼼히 하기 어려운 아동에서 많이 발생하지만, 식생활이나 구강위생 습관 등을 이유로 성인에게도 빈번히 발생하는 질환이다. 발견과 치료에 있어 일반적인 충치보다 그 어려움이 크기 때문에 주기적인 치과 검진과 치실 사용 등을 통해 예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도움말 : 수원 서울뿌리치과 서진호 원장

 

 

제주교통복지신문, TW News


추천 비추천
추천
0명
0%
비추천
0명
0%

총 0명 참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