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교통복지신문 이소민 기자] 국내 모빌리티 플랫폼 쏘카 일반 공모주 청약 일정이 아쉬운 성적으로 마무리됐다. 12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지난 10~11일 이틀간 진행된 쏘카 일반청약 최종 경쟁률은 14.4대 1로 집계됐다. 청약 첫날 경쟁률이 3.33대 1로 마감한 것을 고려하면 둘째 날 청약이 몰린 것으로 보인다. 청약 증권사별 최종 경쟁률은 미래에셋증권이 12.98대 1, 삼성증권이 17.63대 1, 유안타증권이 17.55대 1을 기록했다. 최근 코스닥에 상장한 기업들의 경쟁률이 수천대 1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저조한 성적이다. 특히 비슷한 시기(9~10일) 일반청약을 진행한 대성하이텍의 일반청약률이 1136.44대 1을 기록한 것과 비교하면 ‘대어급’으로 기대를 모은 쏘카의 성적은 더욱 초라하다. 쏘카 공모주 청약의 최종 증거금은 1834억 원이다. 공모 물량이 가장 많은 미래에셋증권에 1149억 원의 증거금이 몰렸다. 증권사별 공모 주식 수는 미래에셋증권이 63만 2500주, 삼성증권 26만 8400주, 유안타증권 9100주 등이다. 총 일반 공모청약 주식은 총 공모 주식 수의 25%인 91만 주다. 쏘카는 앞서 진행한 기관 수요예측에서 부진한 성
[제주교통복지신문 이소민 기자] 차량공유서비스 업체 쏘카가 몸값을 낮추며 강행한 기업공개(IPO)를 위한 일반청약에서 2000억원을 밑도는 증거금을 모으는 데 그쳤다. 11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쏘카의 일반 청약 통합 경쟁률은 약 14.4대 1로 집계됐다. 청약 금액의 절반을 미리 납부하는 증거금은 약 1830억원이 모였다. 총청약 건수는 약 4만6000건이다. 미래에셋증권에 약 2만4000건, 삼성증권에 약 2만1000건, 유안타증권에 약 1100건의 주문이 들어왔다. 이에 미래에셋증권으로 청약에 참여한 투자자는 균등 배정 물량으로 추첨에 따라 13~14주를 받게 될 전망이다. 업계에선 기관 수요예측에 이어 일반 청약에서도 흥행에 실패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수요예측 이후 기업가치를 1조원 아래로 낮췄지만, 여전히 일반 청약 투자자의 눈높이에 못 미쳤다는 분석이다. 쏘카는 조달한 자금으로 모빌리티 밸류체인 내 업체들과의 인수합병(M&A)과 지분투자를 통해 사업 영역을 다각화할 계획이다. 카셰어링부터 전기자전거, 공유주차장 플랫폼, KTX와 숙박 예약이 가능한 원스톱 '슈퍼앱'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오는 22일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한다.
[제주교통복지신문 이소민 기자] 초정밀 스마트 머시닝 솔루션 기업 대성하이텍이 코스닥 상장을 위한 공모주 청약 일정에 돌입한다. 9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대성하이텍은 이날부터 10일까지 일반투자자 대성 청약을 진행하고 오는 22일 코스닥에 상장할 예정이다. 대표 상장주관사는 신한금융투자다. 대성하이텍은 지난 4~5일 국내외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진행한 결과 공모가를 희망밴드 상단인 9000원으로 확정했다고 8일 밝혔다. 최종 수요예측 참여기관은 1678개로 경쟁률은 1935대1을 기록했다. 공모금액은 299억원, 상장 후 시가총액은 1195억원 수준이다. 상장 주관사인 신한금융투자 관계자는 "글로벌 산업기계 메이커들로부터 인정받은 기술력, 2차전지 장비 부품 및 해외 향 방산 부품 등 고부가가치 사업 확대, 폭넓은 글로벌 네트워크를 통한 안정적인 사업 영위 등 대성하이텍에 대해 많은 기관 투자자들이 긍정적으로 평가했다"고 말했다. 1995년 설립된 대성하이텍은 각종 산업기계용 정밀 부품 수출을 시작으로 현재 초정밀 부품과 컴퓨터정밀제어(CNC) 자동선반 등을 영위하고 있다. 미국과 영국, 중국 등 주요 수출국 총 24개국, 57개의 글로벌 고객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