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렴은 말(言)이 아니라 행동(行動)이다. 청렴은 사전적 의미로 ‘성품과 행실이 높고 탐욕이 없는 것이다’라고 정의되어 있는데 이는 곧 일상생활에 모범을 보여야 할 공무원이 갖춰야할 제일 중요한 덕목이라 할수 있다. 국제투명성기구(TI)가 발표한 2021년도 국가별 국가청렴도에서 우리나라는 100점 만점에 62점에 180개국 중 32위를 차지하여, 2017년도에 51위였던 국가청렴도가 5년만에 19단계 상승하였다고 한다. 전 세계와 비교하면 높은 순위는 아니지만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는 점에서 국민들의 공직사회에 대한 인식이 조금씩 개선되고 있다. 청렴의 중요함은 현재뿐만 아니라 과거 우리 역사를 통해 쉽게 찾을수가 있다. 조선후기 실학자 정약용의 율기육조 청심편에서 “청렴은 수령의 본무로, 청렴하지 않고서 수령 노릇할수 있는자는 없다” “수령이 청렴하지 않으면 백성들은 그를 도적으로 지목하여 마을을 지날때는 더럽히고 욕하는 소리가 드높을 것이니 또한 수치스러운 일이 된다”는 청렴의 중요성을 말했다. 청렴이 공직자가 주어진 일을 처리할때마다 몸과 마음에 깊이 새겨야할 습관이며 행동으로 보여줘야 하는 가중 중요한 덕목이라 할수 있다. 연일 계속되는 뉴스나 언
청렴은 사전적 의미로 “성품과 행실이 높고 탐욕이 없는 것이다”라고 정의되어 있는데 이는 곧 일상생활에 모범을 보여야 할 공무원이 갖춰야할 제일 중요한 덕목이라 할수 있다. 국제투명성기구(TI)가 발표한 2021년도 국가별 국가청렴도에서 우리나라는 100점 만점에 62점에 180개국 중 32위를 차지하여, 2017년도에 51위였던 국가청렴도가 5년만에 19단계 상승하였다고 한다. 전 세계와 비교하면 높은 순위는 아니지만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는 점에서 국민들의 공직사회에 대한 인식이 조금씩 개선되고 있다. 청렴의 중요함은 현재뿐만 아니라 과거 우리 역사를 통해 쉽게 찾을수가 있다. 조선후기 실학자 정약용의 율기육조 청심편에서 “청렴은 수령의 본무로, 청렴하지 않고서 수령 노릇할수 있는자는 없다” “수령이 청렴하지 않으면 백성들은 그를 도적으로 지목하여 마을을 지날때는 더럽히고 욕하는 소리가 드높을 것이니 또한 수치스러운 일이 된다”는 청렴의 중요성을 말했다. 청렴이 공직자가 주어진 일을 처리할때마다 몸과 마음에 깊이 새겨야할 습관이며 행동으로 보여줘야 하는 가중 중요한 덕목이라 할수 있다. 연일 계속되는 뉴스나 언론을 통해 공무원의 투기, 거액 공금횡령사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