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교통복지신문 최지영 기자] 인공지능 챗GPT를 행정에 적극적으로 도입해 행정효율을 극대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주도의회에서 제시됐다.
15일 제주도의회 행정자치위원회 한동수 의원(더불어민주당, 이도이동을)은 2022년 결산심사에서 시대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효율적인 공직사회를 위해 도정의 챗GPT 도입을 강력히 주장했다.
대화형 인공지능(AI)인 챗GPT는 언어를 이해하고 생성할 수 있는 최첨단 프로그램으로 정치, 경제, 의료, 문화 등 우리사회 모든 분야에 걸쳐서 4차 산업혁명을 이끌어갈 핵심 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최근 챗GPT가 촉발한 인공지능 열풍에 올라탄 애플·마이크로소프트·엔비디아 등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 주가가 치솟는 등 국내외를 가리지 않고 기업들이 챗GPT 기술 투자와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정부도 챗GPT가 공무원의 업무혁신을 이끌어 갈 것이라면서, 지난 5월 행정안전부가 전국 지자체에 ‘챗GPT 활용방법 및 사례’를 배포하기도 했다.
이에 발맞춰 ▲서울시는 인공지능 종합계획 수립, ▲부산시는 AI 기반 도시계획 수립, ▲충남은 챗GPT 행정 데이터 수집, ▲경북은 정책지원 챗GPT 자체 개발 등 AI를 행정에 도입하여 효율성을 늘리기 위한 노력에 지자체가 매달리고 있다.
그런데 제주의 경우, 행정업무와 연계한 인공지능 활용은 아직 걸음마 수준으로 챗GPT에 대한 개념과 활용 사례를 공무원에게 이제야 교육하는 정도에 불과한 것으로 파악됐다.
실제로 2022년도 결산서와 2023년 본예산·추경 예산서에는 챗GPT 등 인공지능을 활용한 사업과 예산은 전혀 찾아 볼 수 없는 상황이다.
한동수 의원은“특별자치와 자치분권을 선도해 왔던 제주가 오히려 챗GPT 같은 혁신기술에 대한 적응력의 부족으로 다른 지자체를 뒤쫓아 가는 형국이 될까봐 걱정이다”고 밝혔다.
이어 한 의원은“챗GPT는 거스를 수 없는 시대의 흐름으로 과거 원희룡 도지사가 제주에 도입하려다 실패한 블록체인 때와는 다르다”며, “챗GPT 도입으로 행정효율을 극대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끝으로 한 의원은 “챗GPT 행정활용계획 전담 조직을 구성하고 AI 민간전문가를 초빙하여 제주도정 전체 행정에 과학에 기반한 혁신기술을 안착시켜야 한다”고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