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교통복지신문 최지영 기자] 농업분야 고령화와 인력난 해소를 위해 대행용 농기계를 적극 지원하여 농작업 대행조직을 육성·활성화 해야 한다는 요구가 나왔다.
제주도의회 김승준 의원(한경면·추자면, 더불어민주당)은 “지난 2018년 도와 농협이 업무협약 체결을 통해 2019년부터 올해까지 사업비 216억원을 조성하여 대행용 농기계와 농작업 편의장비 등을 지원하고 있다”며, “지난 2022년 이 사업에 대한 결산 결과를 살펴보면, 집행잔액 91,421천원이 발생하고 있는데 이유가 무엇이냐?”고 물었다. 이어“농업현장에서 농기계에 대한 수요가 높은 상황으로 농작업 편의장비의 경우, 지난해 신청대비 56% 수준 밖에 지원이 이뤄지지 않았는데, 집행잔액 발생했다는 것은 납득이 어려운 만큼, 사업 추진방안을 면밀히 검토해야 한다”고 주문 했다.
이어 “농업인 고령화 심화와 인력난 등의 문제해소를 위해서는 농작업 기계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하면서, “현재 편의장비의 보조율은 60%, 대행용 농기계의 보조율은 50%로 단위 농협에서 대행용 농기계 구매에 부담을 가질 수 있다. 대행용 농기계의 보조율을 상향해주는 대신 농협에서 인력을 반드시 채용하게 하고, 농기계에 대한 유지·관리와 농작업 대행까지 할 수 있다면, 상당한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했다.
끝으로 “대행용 농기계의 보조율을 높이는 대신, 전담 인력채용을 통해 농작업 대행조직을 활성화 한다면 고령화에 따른 농기계 안전문제를 해소하고, 소규모 경작지에 대한 경제성과 값비싼 농기계의 효용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이 부분을 적극적으로 검토해 달라”고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