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23 (월)

  • 서울 24.7℃
  • 흐림제주 29.7℃
  • 흐림고산 22.9℃
  • 흐림성산 24.6℃
  • 박무서귀포 24.6℃
기상청 제공

정보


이유 없는 속 쓰림과 구토, 재발 잦은 소화불량, 원인은?

 

회사원 A 씨는 최근 이유를 알 수 없는 속 쓰림과 구토 증상으로 인해 소화에 어려움을 호소했다. 밥을 먹을 때마다 속이 답답하고 거북해 소화제를 먹었지만, 증상은 며칠째 계속됐다. 먹기만 하면 속이 쓰리고 좋지 않아 약속을 잡기 어려웠다. 

 

결국 병원을 찾아 내시경 검사를 받았지만 아무런 이상이 발견되지 않았다. 이처럼 뚜렷한 원인 질환을 찾기 어렵고 만성적으로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기능성 소화불량으로 진단하게 된다. 

 

기능성 소화불량은 특별한 원인 없이 소화불량이나 속 쓰림, 더부룩함, 구토, 부글거림 등의 여러 가지 증상이 동반되는 질환을 말한다. 증상은 3개월 이상 지속되며 만성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서구화된 식습관이나 위에 자극을 주는 카페인, 탄산음료의 잦은 섭취로 인해 증상이 악화하기 쉽다.

 

한의학에서는 기능성 소화불량의 원인을 담 독소에서 찾고 있다. 음식 노폐물이 위장에서 부패해 생긴 담 독소는 위 외벽에 쌓이면서 위장의 운동능력을 저하한다. 운동 능력이 저하되면 위장이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게 되면서 소화불량을 유발하고 속 쓰림, 구토, 명치 통증 등의 다양한 증상을 일으킨다. 

 

담 독소는 혈관과 림프관을 타고 우리 몸의 전신으로 퍼져서 순환계, 비뇨, 생식계 등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에  손발 저림, 월경전 증후군, 심한 구취 등도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적절한 검사와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내시경으로는 확인하기 어려운 위장 외벽을 검사하기 위해서 복부진단, 설진, 맥진과 EAV를 시행해 볼 수 있다. EAV는 위장과 전신의 굳기 정도를 확인하는 기기로 근육의 운동강도 및 혈액순환 및 기능 상태까지 확인이 가능하다.

 

굳어진 위장기능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우선 담 독소를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 치료는 한약치료를 시행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서 아로마와 소적치료와 같은 온열치료를 통해서 굳어진 위장 근육을 풀어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단, 치료는 환자의 상태에 따라 효과와 치료 기간이 다르다는 점을 주의해야 한다.

 

기능성 소화불량은 치료뿐 아니라 평소 관리를 통해서 재발하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과식, 폭식, 야식은 삼가고 식사 20~30분 후 산책과 같은 가벼운 활동을 하는 것이 좋다. 지방이 많은 음식은 위에서 배출되는 시간이 길기 때문에 소화기가 약한 사람이라면 주의해서 섭취해야 한다. 

 

음식을 40번 정도 오래 씹어 먹는 것도 도움이 된다. 침 속에는 아밀라아제라는 당분 분해 효소가 있기 때문에 음식물이 침과 잘 섞이는 경우 소화에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외에도 평소 과도한 음주나 흡연은 피하는 것이 좋다.

 

도움말 : 충주위담통합병원 박종형 원장

 

 

제주교통복지신문, TW News


추천 비추천
추천
0명
0%
비추천
0명
0%

총 0명 참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