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8 (화)

  • 구름조금서울 29.1℃
  • 맑음제주 29.6℃
  • 구름많음고산 26.4℃
  • 구름많음성산 26.1℃
  • 흐림서귀포 27.7℃
기상청 제공

정보


IMM PE의 현대 LNG해운, 글로벌시장 입지 확대 나선다

 

[제주교통복지신문 이소민 기자] IMM 프라이빗에쿼티(IMM PE)가 보유한 현대LNG해운이 액화가스 특화 선사로 글로벌시장에서의 도약에 박차를 가한다고 18일 밝혔다.

 

이날 업계에 따르면, 최근 현대LNG해운은 글로벌에너지패러다임 변화에 빠르게 대응하고 신규 LNG 프로젝트 계약을 성사하면서 LNG 산업계에서 주목을 받고있다. 지난해, 수년간의 해외진출 도전끝에 8척의 신규 LNG 프로젝트 계약을 성공적으로 성사했다.

 

회사 관계자는 “2018년 이규봉 대표 집행임원이 취임해 ‘가장 잘하는 LNG 수송영역에서 world class가 되자!’는 제1 성장전략을 수립한 이후, 전신인 HMM 가스선 사업부 시절부터 쌓아온 약 30년간의 LNG운반선 운영 경험, LNG 운반선 관리에 요구되는 기능 및 조직 등의 내부 경쟁력, 다수의 프로젝트 입찰 경험들을 바탕으로 글로벌기업으로 도약을 시도하고 있다”고 전했다.

 

글로벌시장 상황도 긍정적이다. 러시아-우크라이나전쟁으로 전세계가 글로벌 에너지 대란을 겪으면서, 유럽 각국은 러시아산 천연가스에 대한 수입의존도를 줄이고, 대신 해상운송을 통한 액화천연가스(LNG) 수입 비중을 크게 늘리고 있다. 또한, 화석연료 중심의 에너지 체계를 신재생에너지 중심 에너지 체계로 전환하고자 하는 ESG 경영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더욱 커지면서, 기업들의 액화천연가스(LNG)에 대한 수요는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이렇게 LNG산업에 우호적인 글로벌환경이 펼쳐지며, 지난해 성공적으로 성사된 현대 LNG해운과 말레이시아 국영 에너지기업인 페트로나스와의 174K CBM LNG운반선 6척 운송계약과 스페인 에너지기업인 REPSOL과의 174K CBM LNG 운반선 2척 운송계약이 업계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앞으로도 전망이 밝을 것으로 기대된다. 미국, 카타르 등 주요 LNG 수출국에서는 동시다발적으로 대규모 LNG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다. 카타르 정부는 현재 연간 7700만톤(t) 수준인 LNG 생산량을 2025년까지 1억1000만톤(t)으로 늘리고, 추가로 2027년까지 1억2600만톤(t)을 증산할 계획이다. 미국은 유럽의 LNG 수요 증가에 힘입어 2023년 LNG 수출량이 9000만톤(t)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이는 2021년 수출량인 6703만톤(t) 대비 약 35% 증가한 수치이다. 또한, 총 14개의 LNG 수출 관련 인프라 개발이 2023년부터 순차적으로 개시될 예정이다.

 

현대 LNG해운뿐만이 아니라 현재 LNG 운반선을 보유한 다른 선사들도 글로벌 LNG 시장 확대를 기회로 삼고 연이어 신규 계약체결에 성공하고 있다. 지난 2022년 5월에 이치라인해운, 팬오션, SK해운으로 구성된 한국컨소시엄 이카타르LNG 프로젝트 1차 입찰에 참여해 약15척 내외의 운송계약을 체결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최근에는 에이치라인해운과 SK해운이 페트로나스와 총 7척의 운송계약을 맺었다.

 

회사 관계자는 “유럽발 LNG 수요 증가 및 글로벌에너지 전쟁 등으로 인해 LNG 운송시장도 폭발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보고 있다”며, “2021년 성과에 안주하지 않고 현재 진행 중인 다수의 LNG 프로젝트 입찰에 참여할 것이며 더불어 LNG 벙커링, LPG운반선, FSRU 등 에너지와 연관된 사업다각화도 게을리하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제주교통복지신문, TW News


추천 비추천
추천
0명
0%
비추천
0명
0%

총 0명 참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