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義)라는 한자 단어는 양(洋)과 아(我)의 결합으로 순수하고 깨끗한 양과 같은 동물의 결정체를 자신에게 비유해 바르고 깨끗한 ‘정의’,‘옳다’ 등의 뜻으로 풀이된다.
유난히 뜨거웠던 지난여름, 조선의 운명과 나아가 동북아의 역사를 바꿔버린 임진왜란과 한산대첩을 소재로 한 김한민 감독의 “한산:용의 출현”이라는 영화가 방영되었고 현재 누적 관객 수 724만 명을 기록하는 뜨겁게 다가오는 명품 영화가 되어가고 있다.
“한산: 용의 출현”이라는 영화를 보면서 유독 이순신 장군이 포로로 잡힌 왜군 병사 준사 가 이 싸움(임진왜란)을 어떻게 보느냐는 질문에 이 싸움은 의(義)와 불의(不義)의 싸움이라고 답변한 부분이 가슴속 깊이 다가왔다.
이러한 이순신 장군의 임진왜란에 대한 정의는 비단 전쟁을 수행하는 한 장수의 말에 그치는 게 아니라 현대를 살아가는 모든 공직자의 업무 자세에 대해서도 적용되는 사항이라고 생각한다.
공직자는 의(義), 의롭고 올바르며, 법규에 벗어남이 없는 업무추진에 대하여는 한쪽에도 치우침 없이 공명정대하게 사무를 처리하여야 하며, 불의(不義), 즉 올바르지 앉고 법규에 위배되는 사안에 대하여는 어떠한 유혹과 압력에도 굴하지 않고 NO라고 간단명료하게 답하고 업무를 추진하는 공직자의 자세와 업무추진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온고이지신(溫故而知新) “옛것을 익혀서 새 것을 알아 간다”라는 뜻이다.
영화 “한산:용의 출현”은 현대를 살아가는 공직자 들에게 이순신 장군의 삶과 의(義)와 불의(不義)로 정의된 장군의 표현과 의미를 되새겨 익히게 하고, 공직자로서의 새로운 자세를 한 번 더 일깨워주는, 관람을 권하고 싶은 명작 이였다.
제주교통복지신문, TW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