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교통복지신문 편집부] 변비의 원인은 변비를 유발하는 약재를 먹고 있거나, 관련 질병이 있을 때이다. 혹은 장 속에서 음식물이 통과하지 못하고 막혀있는 상태 혹은 직장의 운동기능이 떨어졌을 때 발생할 수 있다. 또, 갑상선 기능 저하증나 당뇨병이 있을 때에도 변비가 생길 수 있다.
의사의 문진화 함께 증상을 평가한 후 회음부 관찰 및 직장수지검사 등으로 신체검사를 한다. 또 대장통과시간검사, 골반저 기능검사, 배변조영술 등 필요한 검사를 하기도 한다
매우 다양하게 나타난다. 배변 횟수만으로 진단하기 보다는 배변감, 항문폐쇄감, 딱딱한 변이 나타날 때, 화장실을 자주 못 가는 정도 등이다.
해결을 위해 가정에서 노력 할 수 있는것들로는 1. 섬유소가 많이 든 음식과 다량의 수분을 충분히 섭취 2. 불안감을 갖지 않고 편안하게 배변 3. 정기적으로 일정한 시간에 배변하는 습관 4. 적절한 운동을하는 방법등이 있을 수 있다.
한편, 섬유질은 대변의 양과 수분흡수를 늘려주어 대변을 부드럽고, 쉽게 배출되게 도와준다. 따라서 일반적으로는 변비 해결에 도움이 되는 것이 맞다고 볼 수있다. 그러나 섬유질이 부족한 경우에는 섬유질을 섭취하는 것이 변비 해결에 도움이 될 수도 있지만, 이미 어느정도 필요한 양의 섬유질을 섭취하고 있는 경우에 섬유질을 더 많이 먹는다고 변비가 더 좋아지는 것은 아니다. 변비가 심해서 딱딱한 대변이 직장이나 대장을 막고 있는 경우에는 오히려 많은 섬유질의 섭취가 대변 정체를 더욱 심하게 만들어 만성 변비를 악화시킬 수도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