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제주지역의 월동채소 재배 예상 면적은 13,158ha로, 지난해 13,263ha와 거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제주도청에서는 월동채소 파종이 마무리된 지난 9월 하순부터 10월 중순까지 재배면적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8일 발표했다.
조사 품목은 마늘, 양파, 월동무, 당근, 양배추, 브로콜리, 콜라비를 비롯한 11종이다.
조사 결과, 지난해보다 재배면적이 증가한 품목은 마늘(0.5%), 양배추(2.9%), 양파(7.8%), 콜라비(17.2%), 배추(16.1%), 브로콜리(1.1%), 적채(5.9%), 방울다다기양배추(4.6%) 등 8종이다.
이중 양배추, 브로콜리, 콜라비 등 3개 품목은 재배면적이 매년 꾸준하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감소 품목은 쪽파(5.5%), 월동무(2.5%), 당근(11.8%) 등 3종으로 조사됐다.
<재배면적 조사결과〉
(단위 : ha, %)
구분 | 계 | 마늘 | 양파 | 쪽파 | 월동무 | 당근 | 양배추 | 콜라비 | 배추 | 브로 콜리 | 적채 | 방울 다다기 |
`15재배 면적 | 13,263 | 2,171 | 641 | 633 | 4,167 | 1,552 | 1,910 | 295 | 130 | 1,536 | 185 | 43 |
`16조사 결과 | 13,158 | 2,182 | 691 | 598 | 4,062 | 1,368 | 1,966 | 346 | 151 | 1,553 | 196 | 45 |
면적 증감 | △105 | 11 | 50 | △35 | △105 | △184 | 56 | 51 | 21 | 17 | 11 | 2 |
전년 대비 | △0.8 | 0.5 | 7.8 | △5.5 | △2.5 | △11.8 | 2.9 | 17.2 | 16.1 | 1.1 | 5.9 | 4.6 |
제주도청 농축산식품국 관계자는 지난 10월 초 태풍 피해와 이후 잦은 비날씨가 생육기 월동채소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어 생산량이 예년보다 감소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