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9.26 (화)

  • 서울 20.4℃
  • 구름조금제주 24.7℃
  • 구름조금고산 23.3℃
  • 구름많음성산 23.8℃
  • 맑음서귀포 24.9℃
기상청 제공

정보


소아골절, 아이 성장과 밀접한 관련 있어…정형외과적 판단 필요

활동량이 성인보다 많고 아직 주의력이 부족한 아이들은 뛰어놀다가 골절상을 입는 경우가 많다. 소아 골절은 완전 골절이 되는 경우가 많지 않으나 아이들이 자신의 몸 상태를 제대로 파악하여 표현하기 어려운 탓에 골절이 된 사실을 알지 못하고 치료가 늦어지는 경우가 많다. 

 

외관상 큰 문제가 없는 한, 단순한 타박상이겠거니 생활하며 방치하다 며칠이 지나서야 상처가 부어오르고 통증이 심해져 병원을 찾는 것이다. 따라서 보호자들은 아이들이 넘어지거나 했을 때 아이의 상태를 면밀히 살펴야 한다.

 

아이가 제대로 일어나지 못하고 팔, 다리 등을 만지며 아파하지 않는지, 다친 부위가 부어오르지 않았는지, 통증이 심하게 나타나지 않는지, 유독 한쪽 팔다리를 쓰지 못하는 것은 아닌지 살펴보아야 한다.

 

소아 골절은 아이의 성장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빠른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다. 성인과 달리 소아의 뼈는 골막이 두터운 편이다. 때문에 골절되었을 때 칼로 자른 듯 깨끗한 단면이 되기보다는 마치 나뭇가지가 찢겨진 듯한 형태의 골절이 많다. X-ray 촬영만으로 골절 여부를 판단하기 어려운 사례도 많기 때문에 우선 깁스를 이용하여 뼈를 고정시켜 자연 회복을 노리는 방식의 치료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뼈가 많이 어긋났다면 어쩔 수 없이 수술을 진행해야 하지만 대부분의 소아 골절 환자는 깁스 등을 이용한 비수술 치료만으로도 호전될 수 있다. 

 

다만 골절된 부위나 골절 정도에 따라 성장판이 손상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확인과 조치가 필요하다. 성장판이 손상되었다면 추후 아이가 커가는 과정에서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에 꼼꼼하게 살펴야 하며 골절 부위가 모두 회복된 후에도 아이가 제대로 성장해 나가고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소아 골절을 치료한 후 다친 쪽의 뼈가 잘 자라지 않거나 양쪽 팔, 다리의 길이가 달라지는 등 여러 후유증이 남을 수 있다. 골절이 치료되었다고 하여 아이의 관리에 소홀히 한다면 이러한 문제를 제 때 치료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최소 6개월에 한 번 정도 주기적으로 정형외과 검진을 받아보아야 한다. 성장기를 놓친다면 영영 후유증이 남을 수도 있다.

 

몇몇 보호자들은 아이가 골절된 후에 다시 다칠까 두려워 아이의 신체 활동을 막기도 한다. 하지만 이처럼 아이를 과보호하는 것은 아이의 성장에 도움이 되지 못한다. 안전한 환경에서 적당히 뛰어놀도록 지도해야 아이의 신체 발달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신체활동의 내용에 따라 보호구 등을 챙겨주는 것이 소아 골절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된다. 

 

 

도움말 : 임경섭 수원매듭병원 대표원장


추천 비추천
추천
0명
0%
비추천
0명
0%

총 0명 참여